728x90 소아정신의학5 반응성 애착장애 DSM-5 진단기준 1. 진단적 특성 유아기 또는 아동초기에 나타나는 반응성 애착장애는 아동이 특정 애착대상에게 위안, 지지, 보호, 애정을 바라는 행동을 거의 또는 최소한으로 표현하는, 현저하게 혼란되고 연령과 맞지 않는 부적절한 애착행동 패턴을 특징으로 한다. 핵심은 아동과 양육자 역할을 하는 성인 사이에 애착이 없거나 거의 발달하지 않은 것이다. 반응성 애착장애 아동은 선택적 애착을 형성할 수 있는 능력은 있으나 초기 발달 동안 애착을 형성할 기회가 차단되었기 때문에 선택적 애착이 형성된 아동에서 보이는 행동 양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즉, 이런 아동은 고통스러울 때 양육자에게서 위안, 지지, 애정, 보호를 얻으려는 시도를 일관되게 보이지 않는다. 게다가 그들은 고통스러울 때 양육자가 달래 주려고 해도 최소한으로 반응한.. 2022. 4. 15. 탈억제성 사회관계장애 DSM-5진단기준 1. 진단적 특성 탈억제성 사회관계장애란 질병명이 질환의 핵심을 잘 묘사하고 있다. 즉, 이 장애의 핵심은 산만하거나 탈억제성 애착행동이 아니라 조절되지 않고 무분별한 사회행동이며, 특히 낯선 성인에게 다가가고 상호작용하는 초기에 이런 특징이 두드러진다. 탈억제성 사회관계장애의 핵심 증상은 상대적으로 낯선 사람에게 문화적으로 부적절한 수준으로 과도하게 친근한 행동이 특정 문화에서 사회적 허용기준을 넘어서야 진단할 수 있다. 탈억제성 사회관계장애란 진단은 선택적 애착을 형성할 수 있는 연령 이전에 내려서는 안 된다. 이런 이유로 아동은 적어도 9개월은 되어야 한다. 2. 진단에 도움이 되는 관련 특성 사회적 방임이 원인이기 때문에 탈억제성 사회관계장애 아동에서 발달지연이 동반될 수 있으며, 특히 인지와 언.. 2022. 4. 15. 간헐성 폭발장애 1. 개념 및 증상 간헐성 폭발장애는 공격적인 충동을 조절하지 못하여 반복적인 행동의 폭발을 보이는 장애다. 이 장애는 일반적으로는 분노폭발 행동을 일으키지 않을 정신사회적 스트레스에 대해서 이러한 공격적인 충동성을 보인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 장애에서 보이는 공격성은 기본적으로 충동적이며 분노를 기반으로 한다는 특징을 가지며, 미리 계획되어 나타나는 경우는 드물다. 주로 아동후기나 청소년기에 발병하는 경우가 많고, 드물게 중년 이후에 처음으로 발병하기도 한다. 2. 간헐적 폭발장애 DSM-5 진단기준 간헐성 폭발장애에서 보이는 충동적 공격성은 흔히 가까운 지인이나 직장 동료의 사소한 자극에 대한 반응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공격성은 급격한 시작을 보이며, 전조기가 전혀 또는 거의 없고, 전형적으로 .. 2022. 3. 25. 적대적 반항장애 DSM-5진단기준 1. 개념 및 증상 적대적 반항장애는 부모를 포함한 권위있는 대상에게 반항적인 태도와 행동을 지속적으로 보이는 경우에 진단된다. 적대적 반항장애를 가진 아동은 감정적 과잉반응을 보이거나 좌절에 대한 내성이 불량하며, 차분해지기 어려워하는 기질을 보인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기질적 특징은 주변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적대적 반항장애의 발병에 영향을 끼친다. 적대적 반항장애는 행동문제만이 아니라 기분조절의 어려움 또한 나타나며, 이는 진단기준에 포함되어 있다. 이는 품행장애의 경우 행동 문제만이 진단기준인 것과는 차이가 있다. 적대적 반항행동은 집에서만 이루어지는 경우도 있으나 집 이외의 학교나 직장에서 권위 있는 대상과의 관계에서도 나타날 수 있으며, 이는 그 나이와 발달수준을 고려했을 때 임상적 관심.. 2022. 3. 25.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DSM-5진단기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 PTSD) 1. 개념 아동은 외상성 사건을 인지할 만큼 성숙하지 못하기 떄문에 사건을 기억해 내지 못하고, 따라서 외상성 사건의 영향을 받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이 전반적이었다. 하지만 외상 경험은 특정 연령이나 계층 혹은 성별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연구결과가 나타났다. 실제로 현대사회에서는 가정이나 학교 폭력, 자연재해 및 교통사고 등의 다양한 외상성 사건이 발생하고 있는데, 아동이나 청소년이라고 해서 이러한 사건에서 보호되는 것은 아니다. 외상은 교통사고와 같이 일회적으로 발생하는 제 I형 외상과 신체학대 또는 성학대와 같이 장기간에 걸쳐 반복되는 제 II형 외상으로 나누어진다. 또한 신체적 손상을 입은 후 장애가 되거나.. 2022. 3. 22.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