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아정신병리

배설장애 DSM-5진단기준

by 꿈꾸는 뜰 2022. 4. 28.
728x90
반응형

소아정신병리 - 배설장애 DSM-5 진단기준


  1.  정의 및 개념

 

 배설은 아동이 발달과정에서 성취해야 할 가장 중요한 과업 중의 하나이다. 정상적인 발달을 하는 아동은 2~3세가 되면 대소변을 가릴 수 있게 된다. 먼저 주/야간에 대변을 가리기 시작하고, 이후에 낮에 소변을 가리고, 마지막엔 밤 소변도 참고 가릴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알맞은 시기에 대소변을 가리지 못하는 경우를 배설장애라고 하며 유뇨증과 유분증을 나뉜다.

 

 

  2. 유뇨증 DSM-5진단기준

유뇨증의 DSM-5 진단기준
A. 침구 또는 옷에 의도적이든 불수의적이든 반복적으로 소변을 본다.

B. 적어도 3개월 이상을 지속적으로 주 2회 이상 나타나고, 이로인해 사회적, 직업적 또는 학습 기능을 포함한 중요한 영역에서 심각한 장애를 보이는 경우

C. 아동의 연령 혹은 발달 연령이 최소 5세 이상이다.

D. 이러한 장애가 이뇨제 등 약물에 의한 것은 아니어야 하며, 당뇨병, 척수이분증 또는 경련성 질환 같은 의학적 상태의 직접적인 생리적 효과로 인한 것이 아니어야 한다.

*다음 중 하나를 명시할 것
- 야간 유뇨증 단독
- 주간 유뇨증 단독
- 주간 및 야간 유뇨증 복합

 

 

  3. 유분증 DSM-5 진단기준

유분증의 DSM-5 진단기준
A. 옷 또는 마루 등과 부적절한 곳에 불수의적이든 의도적이든 반복적으로 부적절한 장소(예: 옷, 방바닥 등)에 대변을 본다.

B. 이러한 상황이 적어도 3개월 동안에 월 1회 이상 나타나야 한다.

C. 아동의 연령이 최소 4세 이상이다(혹은 이와 비슷한 발달 연령 상태에 있다).

D. 이러한 장애가 약물(예:완화제) 등에 의하거나 변비를 일으키는 의학적 상태 등에 의한 직접적 생리적 효과로 인한 것이 아니어야 한다.

*다음 중 하나를 명시할 것
- 변비 및 변실금이 있는 것
- 변비 및 변실금이 없는 것

 

유분증의 위험요인
  • 지방과 당분이 높은 음식(인스턴트식품 등)을 즐기고, 섬유질 섭취는 적은 경우
  • 충분한 수분 섭취를 않는 경우
  • 운동 부족
  • 학교 공용 화장실 이용을 거부
  • 배변 훈련 동안 변비 혹은 고통스러운 경험을 가졌던 경우
  • 자폐증, 지적장애 등의 발달지연
  • 학습장애, ADHD, 적대적 반항장애, 품행장애가 있는 경우
  • 강박신경증이 있는 경우
  • 신체적 감각을 인지하는 능력이 떨어지는 경우
  • 척수이분증 등의 신경학적 손상이 있는 경우
  • 학대 혹은 방임으로 고통받고 있는 경우

 

출처 : DSM-5에 준하여 새롭게 쓴 소아정신의학, 학지사, 홍강의 저자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