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1. 정의 및 개념 |
배설은 아동이 발달과정에서 성취해야 할 가장 중요한 과업 중의 하나이다. 정상적인 발달을 하는 아동은 2~3세가 되면 대소변을 가릴 수 있게 된다. 먼저 주/야간에 대변을 가리기 시작하고, 이후에 낮에 소변을 가리고, 마지막엔 밤 소변도 참고 가릴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알맞은 시기에 대소변을 가리지 못하는 경우를 배설장애라고 하며 유뇨증과 유분증을 나뉜다.
2. 유뇨증 DSM-5진단기준 |
유뇨증의 DSM-5 진단기준 |
A. 침구 또는 옷에 의도적이든 불수의적이든 반복적으로 소변을 본다. B. 적어도 3개월 이상을 지속적으로 주 2회 이상 나타나고, 이로인해 사회적, 직업적 또는 학습 기능을 포함한 중요한 영역에서 심각한 장애를 보이는 경우 C. 아동의 연령 혹은 발달 연령이 최소 5세 이상이다. D. 이러한 장애가 이뇨제 등 약물에 의한 것은 아니어야 하며, 당뇨병, 척수이분증 또는 경련성 질환 같은 의학적 상태의 직접적인 생리적 효과로 인한 것이 아니어야 한다. *다음 중 하나를 명시할 것 - 야간 유뇨증 단독 - 주간 유뇨증 단독 - 주간 및 야간 유뇨증 복합 |
3. 유분증 DSM-5 진단기준 |
유분증의 DSM-5 진단기준 |
A. 옷 또는 마루 등과 부적절한 곳에 불수의적이든 의도적이든 반복적으로 부적절한 장소(예: 옷, 방바닥 등)에 대변을 본다. B. 이러한 상황이 적어도 3개월 동안에 월 1회 이상 나타나야 한다. C. 아동의 연령이 최소 4세 이상이다(혹은 이와 비슷한 발달 연령 상태에 있다). D. 이러한 장애가 약물(예:완화제) 등에 의하거나 변비를 일으키는 의학적 상태 등에 의한 직접적 생리적 효과로 인한 것이 아니어야 한다. *다음 중 하나를 명시할 것 - 변비 및 변실금이 있는 것 - 변비 및 변실금이 없는 것 |
유분증의 위험요인 |
|
출처 : DSM-5에 준하여 새롭게 쓴 소아정신의학, 학지사, 홍강의 저자
728x90
반응형
'소아정신병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터넷 게임중독 DSM-5 진단기준 (0) | 2022.05.13 |
---|---|
기분장애 DSM-5 진단기준 (0) | 2022.05.10 |
수면각성장애 DSM-5진단기준 (0) | 2022.04.27 |
자폐스펙트럼장애 DSM-5진단기준 (0) | 2022.04.23 |
ADHD DSM-5 진단기준 (0) | 2022.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