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개념 및 원인 |
과거에는 전환형 히스테리 신경증으로 불리던 개념으로 심리적 갈등으로 인해 감각기관이나 수의적 운동기관의 이상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이다.
전환장애는 신체적이든 심리적이든 작은 스트레스나 외상과 연관되어 생길 수 있다. 정신분석적으로는 무의식적 방어기전인 억압과 전환이 연관되어, 억압된 욕구가 신체 및 감각의 증상으로 표현되는 것이다. 생물학적, 신경심리적 요인이 발생에 관여하며 양반구 간의 대사 차이나 대뇌피질의 감각운동에 대한 정보전달이 원활하지 않은 경우와 연관되기도 한다. 경직된 강박적 성격성향, 불안 상태나 우울상태, 이전의 성적 학대경험이 전환장애의 발생과 관련이 있다. 환경적 인자로는 가족 내의 스트레스, 부모에게 거절당한다는 느낌, 가족 내 의사소통의 부재, 해결되지 않은 애도, 학교에서의 불행감이 영향을 준다.
2. 임상 특성 |
전환장애는 자주 해리 증상과 연관된다. 특히 증상의 시작 시점이나 증상 중간에 이인증, 해리성 기억상실을 동반할 수 있다. 증상에 대한 무관심은 전환장애와 연관될 수 있지만 특이적인 것은 아니며 진단을 하는 데 사용되어서는 안 된다. 아동 및 청소년에서는 증상에 대한 무관심은 흔하지 않다.
3. 전환장애의 DSM-5진단기준 |
A. 자발적 운동 또는 감각 기능의 변화인 한 가지 이상의 증상
B. 임상적으로 증상과 신경학적 또는 의학적 상태가 일치되지 않는 근거가 있을 때
C. 증상이 다른 의학적 또는 정신과적 질환으로 더 잘 설명되지 않을 때
D. 증상이 임상적으로 심각한 고통이나 사회적, 직업적 또는 기능의 중요한 영역에서 손상을 초래하거나 의학적 평가가 필요한 정도일 때
*다음의 경우 명시할 것
- 급성기 : 증상이 6개월 미만인일 때
- 지속형 : 증상이 6개월 이상일 때
출처 : DSM-5에 준하여 새롭게 쓴 소아정신의학, 학지사, 홍강의 저자
'소아정신병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동장애 DSM-5 진단기준 (0) | 2022.04.21 |
---|---|
특정학습장애 DSM-5진단기준 (0) | 2022.04.19 |
반응성 애착장애 DSM-5 진단기준 (0) | 2022.04.15 |
탈억제성 사회관계장애 DSM-5진단기준 (0) | 2022.04.15 |
양극성장애 특징 (0) | 2022.04.15 |